본문 바로가기

근육학20

어깨 충돌증후군과 돌림근띠힘줄염 어깨 충돌증후군은 다른 약화 또는 근육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우팔 머리와 앞쪽 이동 또는 뼈의 성장으로 생기는 봉우리 밑 공간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 된다. 그 결과는 돌림근띠 힘줄병증이나 손상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충돌증후군은 돌림근띠 힘줄염을 초래할 수 있다. 위팔어깨관절의 불안정성에 따른 이차적인 충돌증후군으로써 이것은 기능적 불안정성으로 서술되었다. 이차적인 충돌증후군의 병리기전은 어깨 짝힘의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세모근와 돌림근띠 또는 어깨 돌림근, 어깨세모근과 돌림근띠의 동시활성과 돌림근띠의 불안정성은 충돌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드러난다. 돌림근띠의 약화나 손상은 벌림 시 어깨세모근의 활성화 후에 봉우리밑 공간 내에 위팔 머리의 위쪽 전단력에 무능력을 초.. 2022. 12. 20.
어깨 복합체의 평가 다른 만성 근골격통과 함께, 상지의 통증은 몸의 도처에 전반적인 변화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오래된 상부교파 증후군은 하부교차 증후군과 함께 보상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몸 전체는 상지의 만성 통증의 평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자세와 근육 사이의 불균형의 원인과 효과의 관계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지만, 그것은 보통 자세는 근육 불균형과 기능과 관계되어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약한 자세는 상부교차증후군의 변화로 설명했다. 66%는 앞쪽 머리자세를 가지고 있었고, 38%는 가슴쪽 척추뒤굽음증이 증가했고, 73%는 굽은 어깨를 가지고 있었다. 앞쪽 머리자세는 어깨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자주 증가된다., 앞쪽 머리자세는 어깨의 굽힘 관절가동범위를 감소시킨다. 앞쪽 머리자세와 굽은 어깨는 전두면에서 30~45도 까지 .. 2022. 12. 19.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는 흔히 머리와 목 주위의 근 불균형과 관련이 있다. 턱관절 장애 만을 보이는 환자도 일부있지만, 턱관절 장애가 있는 환자들 중 목 기능장애의 유병율이 높다. -병리 턱관절 장애의 징후에는 관절과 얼굴 부위에 통증과 입을 벌림과 닫는데 제한, 두통, 근육 통증 그리고 관절 소리와 딸각 소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관절 소음이 흔히 관자뼈와 아래턱 뼈 사이에 연골성 디스크 전방부의 내부 장애와 관련이 있다. 시간이 오래 지난 턱관절 장애는 골관절염으로 진행되면, 종종 수술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턱관절 장애 환자에서 깨물근과 관자근의 과활동성과 목뿡위근, 두힘살근 그리고 턱목뿔근의 저활동성의 특성이 있다고 하였다. 턱관절 장애 환자의 깨물근과 관자근에 증가된 근전도 활동을 확인하였다. 깨물근의 .. 2022. 12. 19.
목 통증 증후군 ※ 목뼈는 시각적 정렬을 위한 머리의 위치와 음식물 섭취를 위한 입의 위치 그리고 감각 기관(눈,귀,코)의 위치와 보호를 위해 적당한 구조를 하고 있다. 목은 고유수용감각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며, 여러 가지 목부 병리에 의해 자세나 균형에 전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는 기능해부학과 사슬반응과 같은 목부의 부위별 숙지사항을 고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 만성 목통증과 채찍질손상 그리고 목부의 평가와 재활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 얀다의 접근법에 대해 다룬다. 그 다음, 목뼈기원성 두통, 안면부 통증, 턱관절 장애 그리고 섬유성근통, 근근막 통증과 같은 기타 목부 병리에 대해 다룬다. ※ 목뼈는 인체 부위 중 다양한 동작 기능이 있고, 여러 개의 독특한 관절들을 가진 상대적으로 .. 202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