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학20 감각운동 훈련 진행-동적단계, 기능적 단계 동적단계 환자가 다양한 지지면과 다양한 중력중심의 변화에 대해 적절한 자세 안정화를 보이면, 환자는 감각운동 훈련의 동적 단계를 시작할 수 있다. 동적 단계는 사지 움직임을 추가하거나, 반스텝, 동요, 척추 안정화 기법을 사용합으로써 안정화된 중심부를 기반으로 한다. 능동적인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은 자세 조절계의 변화를 생체역학적, 반사적으로 유도한다. 중력중심조절의 난이도가 증가될수록 안정화 전략도 증가된다. 또한 기저면이 급변하고 시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한다. 다시, 난이도수준은 환자의 운동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기본면에서의 움직임들은 초기에 검사 되어져야 하며 그 다음에는 사선면 방향에서의 움직임들이 검사되어야 한다. 목표는 환자가 축 평형을 재확립하고 동시에.. 2022. 12. 15. 감각운동 훈련 진행-정적단계 감각운동 훈련의 세 단계는 정적, 동적, 기능적 단계로 구성된다. 각각은 자세와 중력중심, 기저면의 난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정적 단계의 목적은 바로서기와 균형과 관련된 간단한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기저면위에 중력중심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단계는 근긴장 또는 동시수축 유지기능과 축 주변 골격의 안정화를 향상시킨다. 정적 단계는 단축발형성, 자세교정, 고유수용성 자극, 점진적인 기저면과 중력중심의 변화를 포함한다. - 단축발 형성 단축발은 생체역학적 발의 자세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 장측 아치가 높아진 발모양이다. 이러한 자세는 상대적으로 발길이를 단축시킨다. 단축발은 치료사에 의해 수동적으로 지도된 후, 환자에 의해 능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단축발의 목적은 근긴장성 면에서 발의 내.. 2022. 12. 13. 근육피로에 대해 알아보자 근육의 활동기간이 길어지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차 근육의 수축력이 저하되게 되고, 어느 시점을 한계로 전혀 수축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근육피로라고 한다. 근육 피로의 기전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과거에는 이용할 수 있는 ATP의 고갈 때문에 근육의 피로가 야기된다고 생각하였으나 실제로는 안정 시의 근육보다 ATP 함유량이 약간 낮은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근육피로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즉, 근육을 지속적으로 고빈도로 자극할 경우 해당 작용으로 생성된 젖산으로 인하여 수소이온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ATP가 분해되면서 ADP와 Pi가 생성되기 때문에 무기인산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소이온과 무기인산은 근육잔섬유들의 활주운동을 방해하여 근육수.. 2022. 12. 9. 감각운동 훈련 감각운동 훈련이란? 감각운동 훈련은 향상된 움직임의 조절과 자극, 운동전략이 재활의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인지, 기억, 중추운동, 감각 프로그램의 적응은 재활의 결과를 향상시키게 됩니다. 유해한 자극과 통증과 염증이 감소되고, 관절움직임 범위와 생체역학적 부하에 내성이 생기게 되면, 협력적인 움직임들과 통합괸 전신 움직임이 촉진 될 수 있다. 얀다는 구심성과 수반되는 원심성 메커니즘을 통하여 전반적인 감각운동게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하였습니다. 얀다는 말초에서 들어어는 정보가 중요하며 가장 먼저 수정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감각운동훈련은 수동적인 구심성 촉진과 능동적인 구심성 촉진을 포함하여 균형과 자세유지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고유수용성감각이 하지의 균형과 적절.. 2022. 12.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