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20

운동조절에 대하여 감각운동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운동조절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의 입력과 출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근원들로부터 정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정보처리된다. 마지막으로 정보는 스트린이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된다. 감각수용기 중추신경계로 가는 감각입력은 구심성 정보로 나타낸다. 고융수용성 감각을 위치와 자세, 움직임의 감각으로 정의한다. 비록 특별화된 구심성 수용기가 동시에 확인되지 않더라고, 신체가 고유수용성 수용기로부터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의 어떤 시스템을 갖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즉 말초수용기에 의한 자극의 습득, 기계적 자극을 신경적 신호로 변환한 후 처리하기 위해 중추신경계까지 구심성 경로를 따라 전달된다. 감각수용기로부터 오는 구심성.. 2022. 11. 11.
근육불균형-생역학적 패러다임, 신경학적 패러다임 생역학적 패러다임 근육 불균형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생역학과 관련있다. 근육 불균형의 생역학적 원인은 지속된 자세와 반복되는 움직임으로 인해 근육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다. 반복된 운동 또는 지속적인 자세는 근육의 길이, 근력과 경직성의 적응적 변화를 유발하고 이러한 적응은 움직임 손상을 가져온다. 각각 근절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근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이러한 근육의 적응적 변화는 협동근과 길항근의 참여를 변화시키고 결국에는 움직임 패턴에 영향을 끼치는 일상활동의 결과로 나타난다. 관절움직임의 정확성은 특정 협동근이 다른 협동근 보다 지배적일 때 변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관절에 비정상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예로, 뒤넙다리근이 지배적이고 볼기근이 약하면, 반복된 뒤넙다리근 염좌와 엉.. 2022. 11. 10.
기능적 근육 균형과 병리 근육 균형은 주동근과 길항근 간의 근육길이 또는 근력이 상대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균형은 정상적인 움직임과 기능을 위해 필요하다. 근육 균형은 또한 반대쪽 근육 그룹의 근력과 균형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젊은 성인의 엉덩관절 벌림근의 근력이 우세측과 비우세측에서 유의한 차이가 난다고 보고하였다. 근육 균형은 인체움직임의 조절을 위해 반대쪽 근육그룹이 요구되는 상호성 때문에 필요하다. 근육 불균형은 주동근과 길항근의 길이 또는 근력이 정상적인 움직임의 기능을 제한할 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뒤넙다리근의 긴장은 전체 관절가동범위와 무릎 관절 폄을 제한한다. 근육은 불기능에 따른 보상적 적응 또는 불기능의 결과로 인해 불균형하게 된다. 이러한 근육 불균형은 기능적이거나 병리적이 된다. 이러한 불.. 2022. 11. 10.
내재적 기능 vs 외재적 기능 어떤 환자들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병변에 대한 진단학적 검사법들이 비결정적이거나 수술이 병변을 치유하지 못함으로 환자와 임상가 모두에게 실패로 남게된다. 이와 같은 병변은 기능적인 문제가 주요한 원인일 확률이 크다. 이 같은 손상은 반사적인 변화들을 통해 신체에서 나타난다. 불행하게도, 이와 같은 병변은 진단과 치료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의 비판적 사고와 가시화를 요구하게 된다. 기능적인 병변은 자기공명영상 같은 구조적 영상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 없으며 오히려 임상가들은 신체의 구조들과 시스템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기능장애를 가상적으로 시각화해야한다. 이러한 사고발상의 전환은 오직 구조적인 면만 고려하고, 실제 기능적인 면을 이해하지 못해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기능적인 .. 2022.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