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충돌증후군은 다른 약화 또는 근육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우팔 머리와 앞쪽 이동 또는 뼈의 성장으로 생기는 봉우리 밑 공간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 된다. 그 결과는 돌림근띠 힘줄병증이나 손상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충돌증후군은 돌림근띠 힘줄염을 초래할 수 있다. 위팔어깨관절의 불안정성에 따른 이차적인 충돌증후군으로써 이것은 기능적 불안정성으로 서술되었다.
<충돌증후군의 병리기전>
이차적인 충돌증후군의 병리기전은 어깨 짝힘의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세모근와 돌림근띠 또는 어깨 돌림근, 어깨세모근과 돌림근띠의 동시활성과 돌림근띠의 불안정성은 충돌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드러난다. 돌림근띠의 약화나 손상은 벌림 시 어깨세모근의 활성화 후에 봉우리밑 공간 내에 위팔 머리의 위쪽 전단력에 무능력을 초래한다.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운동선수들의 던지기는 통증 없는 사람과 비교하여 어깨밑근의 지연된 활성화를 드러낸다. 추가적으로, 충돌증후군은 어깨세모근 약화와 위축, 근섬유의 감소와 연관된다.
어깨뼈 돌림근 짝힘의 불안정성은 충돌증후군에서 중간 등세모근과 아래쪽 등세모근, 앞톱니근의 활성화를 변화시키고 약화를 초래한다.
충돌증후군을 갖고 있는 환자들은 증가된 앞쪽 경사뿐 아니라, 감소된 위족 돌림과 바깥돌림을 포함한 변화된 운동학을 증명한다. 어깨 운동학에 이러한 변화는 관절오믁을 바꾸고 봉우리 밑 공간 감소로 생각되어지고 그래서 돌림근띠와 두갈래근 힘줄을 압박하여, 이것은 또한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진행된다.
<충돌증후군의 재활>
수술보다 재활은 이차적인 충돌증후군을 위해 권고된다.
-운동 동안 전체적 상지 사슬이 통합
-엉덩이와 몸통 안정화 운동
-복합관절 움직임을 수행하기 전, 돌림근띠와 어깨뼈 안정성의 분히
-어깨뼈 면에서의 운동
-양측 어깨 운동
-닫힌 운동사슬과 고유수용성 신경근육 촉진 같은 신경근 운동
-안쪽돌림 제한 시 뒤쪽 어깨의 신장 운동
-작은가슴근을 동반한 아래족 등세모근의 균형
-충돌증후군을 피하기 위한 아래쪽 등세모근의 근력강화
-어깨뼈와 고유수용성감각 테이핑의 사용
-엠티캔 운동대신 풀캔 운동
-어깨뼈 내림을 위한 운동
-근육 균형을 위한 일체화된 진동운동
-두갈래근과 어깨세모근 운동
-앞톱니근의 근력 강화
-위쪽 등세모근과 아래쪽 등세모근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협응운동
-푸쉬업 플러스
-머리위 동작을 사용하는 운동선수에게서 플라이오메트릭의 진행
<어깨불안정에 대하여>
어깨 불안정은 관절와의 변형된 위치, 발육부전, 어깨의 굽음, 그리고 돌림근띠의 약화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방향에 의해 나타나는 충돌증후군의 불안정은 흔히 아래쪽 충돌증후군 인대의 관절주머니 결함으로 분류된다. 다방면 불안정은 복합면을 포함한 하나의 충돌증후군 주머니의 전체적 불안정을 나타낸다.
불안정은 시작에 따라 외상적인 아니면 비외상성으로 구분된다. 외상적 불안정은 일방적으로 한 방향에서 한쪽 탈구를 포함하고, 그리고 대개 재건술을 필요로 한다. 비외상성 불안정은 흔히 양쪽 어깨에 여러 방면에서 나타나고 전통적으로 재활로써 치료된다.
기능적 불안정이라는 용어는 흔히 충돌증후군을 발생시키는 불안정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간의 불안정은 안정화를 위한 돌림근띠에 의존성 증가로 인해 피로와 앞쪽 아탈구 그리고 차후의 충돌증후군을 발생시킨다. 기능성 불안정은 다른 관절들에서도 발생하고 감각운동의 이상기능과도 연관되어 있다. 관절 외에, 기능성 불안정은 대개 변화된 근육 활성화 패턴과 근력과 유연성에서 근육 불균형을 드러낸다.
방금 전 표현했듯이, 충돌증후군은 동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외상성 어깨 탈구를 가진 사람은 흔히 재건술 후에 회복되어지는 고유수용성 감각이 감소하게 된다. 충돌증후군 인대에 손상은 관절주머니의 기계적 수용기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동적 안정화 근육에 되먹임을 감소시킨다.
돌림근띠는 일차적인 동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두갈래근과 어깨세모근이 이차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근력에 불균형이나 동적 안정장치의 활성화는 기능적 불균형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아래근의 약화는 돌림근띠의 압축력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큰가슴근은 앞쪽 불안정성을 촉진시키는 앞쪽 공유 힘을 증가시킨다.
앞톱니근과 어깨세모근 그리고 가시아래근의 일반적 활성화는 감소되는 반면에 두갈래근의 활성화는 때때로 감소되어 진다. 또한 어깨뼈 운동학은 충돌증후군과 유사한 패턴으로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변화되어 진다. 감소된 뒤쪽 경사와 감소된 위쪽돌림, 어깨뼈의 위치는 부리돌기에서 위팔 머리의 중심화와 연관되어 있고 동적 어깨 중심화는 불안정성에서 진행된다는 중요한 역할을 발견하였다.
어깨의 관절주머니와 어꺠의 관절가동범위에 불균형사이에 관계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충졸증후군의 불안정은 바깥돌림의 증가와 안쪽돌림의 감소가 가장 두드러지는 관절가동범위의 불균형과 관계가 있다. 머리위 동작을 구사하는 운동선수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과도한 바깥돌림이나 긴장된 뒤쪽 관절주머니는 위팔의 앞쪽과 아래쪽 전이가 증가하므로 불안정성을 일으키게 된다.
불안정성을 위한 재활 원리는 이전에 언급했던 충돌증후군의 재활 원리와 매우 유사하다. 어깨뼈와 돌림근띠에 대한 근력 운동은 기능적 불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깨 탈구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닫힌 사슬 운동 또한 어깨 불안정에 효과적이다.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복합체의 평가 (0) | 2022.12.19 |
---|---|
턱관절 장애 (0) | 2022.12.19 |
목 통증 증후군 (0) | 2022.12.16 |
감각운동 훈련 진행-동적단계, 기능적 단계 (2) | 2022.12.15 |
감각운동 훈련 진행-정적단계 (0) | 2022.12.13 |
댓글